Network

[DNS] TXT / MX / NS

세상편한감자 2022. 5. 26. 16:15
반응형

TXT Record

일반적인 텍스트 내용을 기록한다. 예를 들어 아무리 컴퓨터만 알아들을 있도록 한다고 해도 인간이 서버가 어떤것인지 알리고 싶을 서버의 성격, 이름, 가능한 자원 등을 무엇인지도 알릴 있고 실제 해당 도메인의 소유자인지 확인하기 위해 특정 문자렬을 입력해서 해당 도메인의 소유권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된다.

 

TXT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을 임의의 텍스트 문자열에 매핑하는 사용된다. 특히 SPF DKIM 같은 이메일 구성과 관련된 여러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다.

 

DNS 표준은 여러 문자열을 포함하는 하나의 TXT 레코드를 허용하며 각각의 문자열 길이는 최대 254자까지 가능하다. 여러 문자열이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문자열은 클라이언트에 의해 연결되고 단일 문자열로 처리된다.

 

DNS 레코드의 여러 문자열을 TXT 레코드 집합의 여러 TXT 레코드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TXT 레코드 집합은 여러 레코드를 포함할 있으며 각각의 레코드는 여러 문자열을 포함할 있다.

 

MX Record

Mail eXchange 레코드로 기본적으로 메일을 주고 받을 있도록 가능하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예를들어 myid@meson.kr 이란 이메일 주소로 메일을 주고 받을 있는 이유는 meson.kr 이란 도메인이 메일을 주고 받을 있는 실체적 서버가 누구인지 밝혀주고 있기 때문이다.

 

개인이 서버를 두고 서비스를 있지만 무엇보다 보안과 관리에 신경쓰이기 때문에 자신의 도메인을 가지고 메일 서비스를 사용할 있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대표적으로 제공하는 업체는 구글, 네이버, 다음,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있다.

 

※참고※

  1. RBL 등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취하는 조치의 순서는

SPF 레코드 등록 > 화이트 도메인 등록 > PTR 레코드 등록의 순서로 진행

  1. 국내의 경우 SPF레코드가 스팸정책에 영향력을 높이며 해외의 경우 PTR 레코드가 스팸차단의 기준이 된다. 그래서 국내포탈이나 기업의 차단은 SPF 레코드 등록 화이트 도메인 등록을 중점적으로 체크해야하며 해외메일 수신 차단의 경우는 PTR 레코드를 등록 체크해야 한다.

 

NS(Name Server Record)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지정하는 레코드. NS레코드는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지정하는 레코드이며, 네임서버를 직접 운영하는 경우 필수적으로 등록해야한다.

 

출처: https://june.meson.kr/2014/10/dns-service-its-basic-and-application.html

반응형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SPF  (0) 2022.05.26
[DNS] PTR / White Domain  (0) 2022.05.26
[DNS] A / AAAA / CNAME  (0) 2022.05.23
[DNS] SOA Record  (0) 2022.05.18
[DNS] TSIG  (0) 2022.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