웜부팅(Worm)과 콜드부팅(Cold)의 차이
컴퓨터의 전원을 켜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을 부팅이라고 한다. 부팅할 때 시스템을 검사하는 POST를 거친 후에 운영체제를 RAM으로 읽어들인다. 문제 없이 운영체제 프로그램을 RAM으로 읽어들이면 컴퓨터는 사용자의 명령을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부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재부팅할 수 있는 방법은 두가지이다.
웜부팅은 Ctrl+Alt+Delete키를 눌러서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콜드부팅은 리셋 버튼으로 하드웨어적인 방법으로 컴퓨터를 재부팅 시키는 것이다. 윈도우에서 웜부팅은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하거나 시작 버튼에서 다시시작을 선택하거나 프로그램이나 드라이버 설치완료시 재부팅 될 때도 웜부팅이라고 할 수 있다.
웜부팅
- 시스템을 검사하는 과정를 생략하기 때문에 부팅속도가 빠르다.
- 시스템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콜드부팅
- 리셋 버튼을 눌러서 시스템을 재부팅 하는 것
- 시스템에 무리가 가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 (전원을 켤 때 높은 전압과 부하가 생기기 때문)
POST란(Power On Self Test)
POST는 컴퓨터에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키보드, 램, 하그디스크 그리고 기타 하드웨어등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 바이오스가 동작시키는 일련의 테스트 과정으로 만약 하드웨어가 감지되지 않거나 정상적으로 동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바이오스는 화면에 에러메시지를 나타내고 삐- 하는 일련의 비프음을 낸다.
POST는 그래픽카드가 활성화되기 전에 실행되기 때문에 진행 상황이 화면에 출력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삐- 하는 전자음은 어떤 바이오스를 사용하는거에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된다
출처
https://spacenova.tistory.com/8727623
웜부팅(Ctrl+Alt+Delete)과 콜드부팅(Reset)의 차이점
웜부팅(Ctrl+Alt+Delete)과 콜드부팅(Reset)의 차이점 컴퓨터의 전원을 켜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초기 상태로 만드는 일을 부팅이라고 하는데, 시스템을 검사하는 자기 진단 테스트(Power On Self Test)를 거
spacenova.tistory.com